• JINJU REVIEW

    탐사보도

    07.짜고 치는 고스톱 비판, 시민여론조사

    여론조사는 단순히 축제 무료화에 명분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며, 이후 진행된 진주시의 축 제 무료화는 유료화 당시보다 진주시민들에게 더 많은 금전적 지출을 강요하는 축제가 되었다. 진정 한 무료화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경상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가 실시한 「진주남강유등축제 관련 시민여론조사」는 ‘짜고 치는 고스톱’ 이외의 말로는 설명이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우선 시민여론조사가 축제의 유·무료화를 결정짓는 대단히 중요한 조사이며, 진주남강유등축제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대 사임에도 불구하고 조사에 사용된 핵심 설문 문항은 한 가지이다. 풀어서 해석하면 ‘무료화 에 찬성입니까? 반대입니까?’이다. 이 한 가지 질문으로 대한민국 대표축제이자, 글로벌축제 반열에 오른 축제의 미래를 결정짓다는 것은 한마디로 어불성설이다. 진주시와 진주문화예 술재단이 사전에 축제 설문 항목을 조율했다 치더라도 축제의 미래를 결정짓는 설문조사로 서는 합격점을 주기 어렵다. 설문조사를 통해 최소한 ‘축제의 완전 무료화를 위해서는 엄청 난 축제예산 부담’이 전제되어 시민들의 세금 부담 증가가 예상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적시 했어야 했다. ‘축제 무료화=시민세금’이라는 공식에 대한 친절한 설명이 있어야 했다는 것이 다. 결론적으로 이 여론조사는 단순히 축제 무료화에 명분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 며, 이후 진행된 진주시의 축제 무료화는 유료화 당시보다 진주시민들에게 더 많은 금전적 지출을 강요하는 축제가 되었다. 진정한 무료화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진주시는 「진주남강유등축제 관련 시민여론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81.2%가 요구한 진주남 강유등축제 무료화를 완벽하게 추진하지 못했다. 진주시는 진주남강유등축제 무료화 결정 을 하면서 ‘진주남강유등축제 전면 무료화’가 아닌 ‘축제장 입장료 무료화’로 선을 그었다. 대 신 축제재정 확보를 위해 부교 통행료 등 일부 프로그램은 유료화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서 지적할 점은 ‘축제 개최 비용에 대한 부담’을 걱정했다면 애당초 축제 무료화는 시도하지 말 았어야 옳다는 것이다. 실제로 진주시가 결정한 축제 무료화는 오히려 축제 유료화 당시보다 더 많은 부담을 시민들 에게 부과하고 있다. 축제 유료화 당시 진주시민들이 축제장 출입은 다소 제한(평일 무료, 토, 일요일 유료)이 있었지만, 유람선 이용 등 유료 프로그램을 제외한 부교 등은 무료로 이 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진주시의 축제 무료화 이후에는 축제 입장료는 없지만, 무료로 이용 했던 부교 이용료(편도 2,000원)의 부담이 생겼다. 4인 가족이 부교 왕복권을 구입할 경우 16,000원의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유료화 때는 부담할 필요가 없다. 부교는 무료이기 때문 이다. 이것이 진주시가 주장하는 진주남강유등축제 무료화의 허울이다. 시민들을 위해 추진 한 축제 무료화가 오히려 시민들에게 금전적인 부담을 떠넘기는 축제의 무료화가 된 것에 대해 시민들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축제 예산이 부담스러웠으면, 재정자립도 110%를 달성 한 축제 유료화를 유지하는 게 맞다. 축제의 정치 도구화를 용납하면 반드시 그 피해는 시민 의 몫이 된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진주시가 진주남강유등축제 무료화를 추진할 당시, 공동주최기관인 진주문화예술재단이 진 주시에 다음과 같이 제의했다. ‘진주시민은 무료화하고, 축제 재정 확보를 위해 외지관광객 은 유료화하자’ 이 제의는 단칼에 거절당했다. ‘축제 전면 무료화는 진주시장의 공약이다. 시 민과의 약속을 지키고 싶다’는 이유였다. 분명한 사실은 진주시장은 ‘축제 무료화 공약’을 완 벽하게 지키지 못했고, 진주시민은 축제 유료화 당시보다 더 많은 금전적 지출을 하면서 진 주남강유등축제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BOOK 저널리즘

    BOOK저널리즘은 책의 무게감, 소셜미디어의 신속성, 저널리즘을 추구합니다

    + more

    진주평론(晋州評論)

    계간지로 발행되는 진주평론을
    보실 수 있는 공간입니다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