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다시 무료화, 축제 기로에 서다
축제 유료화 이후에도 여전히 축제예산은 제자리걸음을 했고, 지속가능한 축제 발전의 희망조차도 건져 낼 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진주남강유등축제는 또다시 정치권이 제기한 무료화 논란의 중심 에 섰고, 무료화 이후에는 유료화 추진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했다.
진주남강유등축제 유료화의 최대 수혜자는 진주시이다. 축제 유료화 시도로 전국의 지방자 치단체들의 주목을 받았고, 축제 재정자립도 110% 달성이라는 축제의 신기원을 이룩해 낸 주역으로 융숭한 대접을 받았기 때문이다. 반면 공동주최인 진주문화예술재단은 축제 유료 화 3년 내내, 축제 개최 이전과 이후로 쏟아진 각계각층의 비판과 비난을 직접 감내해야 했다.
축제 유료화 이후에도 여전히 축제예산은 제자리걸음을 했고, 지속가능한 축제 발전의 희망 조차도 건져 낼 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진주남강유등축제는 또다시 정치권이 제기한 무 료화 논란의 중심에 섰고, 무료화 이후에는 유료화 추진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했다. 그 책임은 축제의 생명력을 좌지우지하는 수준에 다다랐다. 행정의 축제 자원화 시도가 시작된 것이다.
민선 제7기 조규일 진주시장은 취임사에서 ‘진주남강유등축제 무료화’를 약속했다. 사실상 진주남강유등축제의 무료화를 사실화시킨 것이다. 조규일 시장은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 TV토론회에서 “2017년 수준으로 올해 유등축제를 진행하면 40억 원 정도가 소요된다. 금년 도 유등축제 예산 6억 원과 부교, 소망등 등 자체사업으로 벌어들인 15억 원, 축제 이월금 13 억 원 중 10억 원 등을 사용해 유등축제를 무료로 진행하겠다”라고 말했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무료화의 최대과제는 축제예산의 안정적 확보이다. 조규일 시장의 주 장대로 2018년도 축제예산은 당장 확보가 가능하지만 문제는 그 이후이다. 국비와 도비 지 원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매년 40억 원에 이르는 예산을 축제에 투입하는 것이 적잖은 부담 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부분 유료화’가 거론되기도 했다. 제7대 진주시의회 일 부 의원들은 “전면 무료화보다 일부 유료화가 필요하다. 주차비, 진주성 입장료, 부교 이용료 등을 받아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남강유등축제의 미래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제기되었다. 경남도민신문(2018. 9. 13)은 사설 을 통해 ‘기로에 선 진주남강유등축제 위상’을 점검했다. 축제에 대한 우려의 시각은 ‘논란이 되어 온 축제 입장료 유료화가 지난 지방선거로 시장이 바뀌고 무료화한 데서 비롯됐다. 축 제의 무료화가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라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불가피한 축제경비의 축소가 가 져올 축제의 빈약함과 부실함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을 수 없다. 남강유등축제의 위상이 기 로에 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