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INJU REVIEW

    탐사보도

    03. 지방선거 핫 이슈로 재등장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진주시장에 출마한 후보들이 진주남강유등축제 전면 무료화를 주장 하고 나섰다. 축제 유료화 당시, 정치권이 주도한 축제의 정체성 흔들기에 이어 축제의 생명력을 좌 지우지하는 정치적 자원화에 나선 것이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료화가 ‘지방선거 핫 이슈’로 재등장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 6. 13)에서 진주시장에 출마한 후보들이 ‘진주남강유등축제 전면 무료화’를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당시 이창희 진주시장의 ‘흑자 명품축제, 유료화 고수 입장’에 대해 다른 출마자 들은 너도나도 ‘전면 무료화’를 외치고 나섰다. 축제 유료화 당시, 정치권이 주도한 축제의 정체성 흔들기에 이어 축제의 생명력을 좌지우지하는 정치적 자원화에 나선 것이다. 당시 언론에서도 이 문제를 다투어 다뤘다. 경남도민일보(2018. 2. 20.)는 ‘유료 진주남강유등축제 선거 쟁점화’ 제하의 기사에서 진주시장 후보와 도지사 등에 출마하는 후보 대부분이 무료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다는 점을 상세히 다뤘다.

    국제신문(2018. 3. 22.)도 ‘진주 남강유등축제 지방선거 핫 이슈’라는 제하의 기사를 보도했 다. 기사에 따르면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자유한국당 이창희 진주시장 후보를 제외한 시장 출마 예정자가 여야를 막론하고 무료화를 주장하고 나서 논란과 함께 뜨거운 공방전이 예상 된다고 보도했다. 

    이들 언론보도에 따르면 유료화를 시작한 이창희 진주시장은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우리나 라축제사상,유일하게 해외 수출은 물론 완전 자립화를 이룬 축제로 업적을 쌓았다”면서“세계 5대 명품축제로도 약할 수 있는 자립과 산업화 기반도 함께 마련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진주시장 출마 예정자는 여야를 막론하고 반대 의사를 개진했다. 더불어민주당 갈상돈 문재인 대통령 후보 정책특보는 “남강유등축제는 원칙적으로 무료화 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공연 등을 유료화해야 한다”라고 주장했고, 같은 당 김헌규 변호사도 출마의 변을 통해 “남강유등축제 유료화를 위해 설치된 가림막이 축제를 즐기러 온 손님들과 시민 사이에 ‘돈의 장막’을 치는 형국이 됐다”며 “이는 시민은 안중에도 없는 진주시의 행정 폐해”라며 무료화를 주장했다. 

    한국당의 예비후보들도 무료화에 가세했다. 오태완 전 경남도 정무특보는 “남강유등축제 입 장료를 전면 무료화해 시민뿐 아니라 외지인이 한데 어우러지는 소통과 화합의 국민축제를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같은 당 조규일 전 경남도 서부부지사는 “유료 입장객만 즐기는 상업적 축제로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무료화를 통해 시민축제를 원래의 목적에 맞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승화시키겠다”라고 주장했다. 

    경남도지사 후보도 이에 가세했다. 김영선 전 의원은 “유등축제가 유료화돼 관광수요 확대 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축시킬 수 있다. 무료화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한류문화축전의 중 심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역정가에서는 ‘현 시장이 유료화를 선언하고 추진했기 때문에 다른 출마예정자 들은 반대 의견을 내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치집단의 정치 수단화와 자원화에 대한 분명한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경남일보(2018. 5. 9.)는 ‘누가 돼도 남강유등축제 무료화된다’는 제하의 기사를 보도했다. 

    6.13 지방선거 진주시장 후보로 결정된 더불어민주당 갈상돈 후보와 자유한국당 조규일 후 보가 각각 ‘진주남강유등축제 무료화’를 공약함에 따른 것이다. 갈 후보는 “유등축제는 원칙 적으로 무료화해야 하고 필요하다면 공연 등을 유료화해야 한다”라고 주장했고, 조 후보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역사성을 갖춘 유등축제를 유료 입장객만 즐기는 상업적 축제로 만드 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최초로 축제 재정자립도 110% 달성이라는 새로운 축제 역사를 기록한 진주남강유 등축제 유료화는 그렇게 축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BOOK 저널리즘

    BOOK저널리즘은 책의 무게감, 소셜미디어의 신속성, 저널리즘을 추구합니다

    + more

    진주평론(晋州評論)

    계간지로 발행되는 진주평론을
    보실 수 있는 공간입니다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