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INJU REVIEW

    탐사보도

    01.정치의 수단화와 지역축제의 정체성

    축제 유료화에 대한 비판의 홍수 속에서 ‘축제산업시대의 축제경영이라는 관점에서의 지역축제의 미래 비전 수립 과제’에 대해서는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 축제 유료화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 한 민심의 향배를 읽은 정치권의 ‘축제 정치 수단화’가 전면에 드러나게 된다.


    진주남강유등축제가 2015년 전국 지역축제 가운데 최초로 축제 전면 유료화를 전격 실시했 다. 세계 5대 축제 진입에 대비한 축제 재정 자립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추진됐다. 유료화 시행 첫해인 2015년, 축제 재정자립도 80%를 달성에 이어 3년째인 2017년에는 재정자립도 110%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축제 역사상 최초의 기록이자, 지금도 그 기록을 깬 축제는 나타 나지 않고 있다. 당시 전국의 지자체들이 벤치마킹에 열을 올렸고,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전 국 축제들의 롤 모델로 등장했다. 글로벌 축제 반열에 오를 수도 있다는 기대감도 한껏 높아 졌다. 

    반면, 축제 유료화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다. 일명 ‘축제장 가림막 설치 논란’은 축제 유료화 의 성과와 미래 비전에 대한 논의를 단 한번에 묻어버리는 괴력을 발휘했다. 더불어 유료화 로 인한 인근 상인 매출 감소 등의 문제 제기에 이어 ‘축제가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했다’ 등의 강한 비판이 지역사회 일각에서 쏟아졌다. 

    남강유등축제를 지키기 위한 진주시민행동은 ‘유등축제 가림막에 대한 시민여론조사와 평 가 토론회 제안’과 함께 유료화와 가림막 설치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여기에 진주시의회 일 부 의원들까지 유료화 반대에 가세하면서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유료화 첫해부터 정체성에 일대 혼란을 겪게 된다. 당시 이창희 진주시장은 “유료화를 위해 설치한 가림막이 시민불편 과 불만을 유발했다. 내년 축제에는 반드시 개선하겠다(연합뉴스 2015. 10. 12.)”라고 진화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축제 유료화에 대한 비판의 홍수 속에서 ‘축제산업시대의 축제경영이라는 관점에서의 지역 축제의 미래 비전 수립 과제’에 대해서는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 축제 유료화의 부정적 인 측면만 부각될 뿐, 긍정적인 측면은 점점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반면, 축제 유료화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 민심의 향배를 읽은 정치권의 ‘축제 정치 수단화’가 전면에 드러나게 된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주남강유등축제 유료화 문제’가 총선 쟁점으로 부상했다. ‘지역축제의 무료화가 총선 쟁점이 되느냐’에 대한 일부 지적에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정치 권은 ‘진주남강유등축제 유료화’에 맹폭을 가했다. 정치권의 지역축제 정치 수단화 서막이 자,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정체성 혼란이 시작된 것이다. 

    경남도민일보(2016. 4. 1.)는 ‘진주남강유등축제 총선 쟁점 부상’ 제하의 기사를 보도했다. 보도내용에 따르면, 시민단체의 유료화와 가림막 설치 반대 기자회견과 문화단체의 반박 기자 회견을 실었다. 단체들의 공방에 이어 총선 출마자들도 각자의 입장을 밝히면서 총선 쟁점 화를 시도했다고 보도했다.

     기사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정영훈(진주갑) 후보는 당시 새누리당 박대출 후보에게 보낸 공개질의서를 통해 ‘남강유등축제 가림막 설치를 계속 방치할 생각이냐. 유료화를 명분으로 남강변에 가림막을 설치했는데, 그 판단이 옳았다고 생각하는지, 올해도 남강에 가림막을 친 다면 계속 방치할 것인지’를 질의했다. 진주남강유등축제 유료화를 정치적 이익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는 발언이었다.

     무소속 이혁 후보(진주갑)도 공약 발표 당시, 진주남강유등축제 무료화 추진을 공약했다. 이 후보는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시민은 물론 축제를 찾는 모든 분들이 무료로 보고 즐길 수 있 어야 한다. 축제 무료화를 통해 시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방문객을 대거 유치해서 세계 적인 축제로 키워나가겠다’고 주장했다. 축제 유료화를 통해 거둔 성과와 문제점에 대한 냉 철한 분석에 따른 지적이 아닌, 단순한 축제의 정치 수단화의 전형을 보여준 사례라고 볼 수있다. 

    경상남도 역시 축제 유료화 비판에 가세했다. 경상남도가 ‘지역대표축제 유료화 기준’을 시· 군에 권고하면서 ‘야외축제는 원칙적으로 무료로 이용’하도록 권고한 것이다.(경남일보 2016. 5. 23) 이는 진주남강유등축제와 창원 진해군항제 등 일부 시·군의 축제 유료화에 사실 상 제동을 건 것이다. 

    경남도의 이같은 방침은 홍준표 도지사가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료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내비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사실상 진주남강유등축제의 유료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한 것이다. 

    시민단체와 진주시의회에 이어 정치권과 경상남도까지 축제 유료화 논란에 가세하면서, 진 주남강유등축제는 ‘전국 최초로 축제 전면 유료화 성공을 만들어낸 축제의 새로운 롤 모델’ 에서 한순간에 ‘축제를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시킨 상업축제’라는 지역의 비판만 뒤집어쓴 채, 축제의 정체성에 혼란을 빚게 된다.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축제 유료화를 계속했다. 축제의 재정자립도 역시 유료화 첫해인 2015 년 80%에서 2016년 85%, 2017년에는 110%를 달성했다. 축제 재정자립도 완전 자립화를 넘 어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대한민국 축제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자, 대한민국 축제 가운데 티켓 파워 랭킹 1위를 차지하는 대한민국 축제의 롤모델로 성장했다. 하지만 축제 유료화 논 란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멈추지 않고 계속되었다.

    이미지설명

    진주남강유등축제 관람객 [출처 : 진주문화예술재단] 


    BOOK 저널리즘

    BOOK저널리즘은 책의 무게감, 소셜미디어의 신속성, 저널리즘을 추구합니다

    + more

    진주평론(晋州評論)

    계간지로 발행되는 진주평론을
    보실 수 있는 공간입니다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