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INJU REVIEW

    진주평론외전

    진주평론 외전 몽돌과 짱돌 

    이건 아니올시다 

    프랙털이라는 개념은 프랑스 수학자 베누아 만델브로(B. mandelbrot)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른바 ‘미세한 부분에서 전체를 알 수 있다’는 것이 프렉털(Fractal)이다. 프랙털 이론은 ‘자기유사성’과 ‘자기반복성’으로 요약되며, ‘부분이 전체를 대변하고, 전체는 부분의 또 다른 일부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프랙털 이론은 혼돈과 무질서로부터 질서의 탄생과 같은 새로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탄생한 패러다임 이자, 불규칙하고 무질서한 현상을 왜곡하지 않으면서 자기유사성과 자기반복성으로 ‘무질서 속에 숨겨진 질서’를 밝힐 수 있는 방법론의 하나인 것이다. 

    프랙털 이론을 활용한 TV 예능프로그램이 있었다. 사물의 일부분을 크게 확대해 보여주면, 패널들이 사물의 진짜 모습을 맞추는 코너였다. 우리 주변에 흔해빠진 사물, 즉 종이, 볼펜, 나뭇잎 등을 200배 혹은 300배로 확대해서 보여주면 패널들은 혼란에 빠진다. 

    확대된 사물은 일반적인 인식공간의 범주에 벗어나 있는 듯이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확대 비율이 낮아 지기 전에는 사물의 원형을 맞추는 패널은 거의 없다. 반면, 확대 비율이 낮아지고, 사물의 원형에 가깝게 접근하면 “겨우 이거였어?”라며 허탈해한다. 

    향후 진주의 100년 미래를 좌우할지도 모르는 남부내륙고속철도 시대를 맞아 진주발전 전략을 마련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이다. 진주의 미래가 달려있다면 더더욱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더불어 ‘지금 진주에서 추진되는 각종 대형사업들이 과연 시대적 요구에 적절한 사업인지’와 ‘진주의 백년대계에 대비하는 대형 프로젝트가 맞는지’에 대해 한 번쯤은 뒤돌아보고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진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3대 프로젝트를 비롯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각종 대형사업들에 대해 충분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발목을 잡자는 것이 아니다. 진주의 미래와 관련된 일이니만큼 조금 더 확실하게 진주의 미래를 준비하자는 것이다. 

    우리속담에‘한가지를보면열가지를안다’는말이있다.프랙털 이론이 주창하는 바와는이론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있을지언정, 시사하는 바는 같은 범주에 있는 듯 하다. 최근 논란이 되고있는 각종 대형 프로젝트에 대해 낙관적이기보다는 비관적인 시각이 노출되고 있다는 점을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 된다.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라는 말이 있다. 미팅을 하면서 ‘킹카’를 기대했는데, 꼭 ‘지뢰밭 속의 폭탄’과 짝이 되고마는‘머피의법칙’과 친척뻘쯤 되는 말이다.뭐든지 하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 열심히 하다가 안되면 어쩔 수 없지만, 원칙과 기본에서 벗어난다면 그 뒷일은 누가 감당할 것인가. 결국 진주시민이 감당해야 한다. 만약 진주를 걱정하는 진주시민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보통 사람들이 손가락을 좌우로 흔들며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이건 아니올시다.” 

    BOOK 저널리즘

    BOOK저널리즘은 책의 무게감, 소셜미디어의 신속성, 저널리즘을 추구합니다

    + more

    진주평론(晋州評論)

    계간지로 발행되는 진주평론을
    보실 수 있는 공간입니다

    + more